1. 심폐소생술 단계
- 기본 소생술(BLS) : 심장박동이 회복되어 혈액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
- 의식이 없는 환자 발견 -> 환자 상태 평가(“괜찮으세요?” -> 구조요청 및 제세동기 요청(“거기 니트 입으신 여자분 119에 신고해 주시고 , 제세동기 좀 가져다주세요.”) -> 경동맥 확인 -> 심폐소생술 실시(가슴압박 : 인공호흡 = 30 : 2(성인) / 15 : 2(소아)) ->제세동기의 평가 및 작동 후 심폐소생술 실시(주변 사람을 떨어지게 한다.
-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과도한 목 신전을 하지 않는다.
- 전문심장소생술(ACLS) : 심정지 환자의 심장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소생을 위한 치료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 규명, 심정지 재발 방지
- 약물 사용, 환자의 호흡과 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장비의 사용 방법과 기술의 습득, 심정지 환자의 조기 치료에 관한 지식과 기술
- 에피네프린
- 아미오다론
- 리도카인
- 아트로핀
- 아데노신 등
2. E-tube 삽관
준비물
- AMUB bag +Amabu mask+2 bottle+ Coonectin Cath.
- Airway
- 후두경
- E-TUBE
- Stylet
- 10CC syringe
- 곡 반, 반창고, 글러브 등
※ 후두경
- 구분: BLADE 모양에 따라 CURVED와 STRAIGHT
- CURVED BLADE는 BLADE의 끝이 후 두 계곡까지 가도록 삽입
- STRAIGHT BLADE는 후두개 밑으로 BLADE 삽입
준비
1. 산소요법 실시. 마스크를 환자 얼굴에 효과적으로 밀착한다.
2. Laryngoscope blade를 handle에 끼움(전구에 불 들어오는 것을 확인한다.)
3. 환자에게 맞는 size의 E-tube를 saline에 담근다.
4. 10cc syringe로 ballooning을 해본다. (공기가 새는지 확인)
5. Tube 밖으로 stylet 끝이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E-tube에 stylet을 삽입한다.
6. Stylet이 밀려가지 않도록 E-tube 입구 쪽의 끝을 꺾는다.
시행
1. 환자의 머리 위쪽에서 intubation을 시행한다.
2. 고개를 젖히고 턱을 들어준다.
3. Tube 삽입 전 oral suction 실시한다.
4. 오른손으로 cross finger technique(교차수지법)를 사용하여 입을 벌린다.
5. Laryngoscopy(왼손 잡음)을 입안 우측으로 들이밀며 혀를 좌측으로 민다.
6. Blade를 밀어 넣을 때 epiglottis를 덮지 않도록 하며 성문 입구가 잘 보이도록 handle을 위쪽으로 당김. (이때 laryngoscopy를 지렛대로 사용하면 안 된다.)
7. Saline에 적신 E-tube를 신속하게 의사에게 전달한다.
(tube 삽입 시 보조자가 윤상연골을 압박하면 성문을 쉽게 노출,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한다.)
8. Tube를 입의 오른쪽을 통해 성대를 지나 밀어 넣는다.
9. Intubation 후 E-tube를 꽉 쥐고 stylet을 빼낸다.
10. Cuff의 proximal end가 성대에서 보이면 tube를 1~1.2cm도 밀어 넣는다. (이때 끝은 성대와 기관분기부 중간에 위치, 이 과정은 30초 이내 진행)
시행 후
확인
- 10cc syringe로 4cc 정도 cuff에 ballooing
- AMUB bag에 100% 산소를 연결
- Air way 삽입 후 반창고로 고정
- 흉부 x-ray 찍은 후 tube의 위치 확인 -> 가장 확실한 방법!
< 올바른 위치 >
3. 잔떨림 제거
-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
- 순간적으로 부정맥을 제거하여 정상 리듬으로 전환
1) 잔떨림 제거를 위한 준비사항
- 환자 상태평가
-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동안 제세동기에 스위치를 넣어 전기 충전(미리 충전시켜 놓을 것)
- 동시작동 스위치는 “off"로 돌림
2) 잔떨림 제거 에너지
- 이상 파형 : 최초 200J 권장
- 단상 파형 : 최초 360J 권장
- 소아는 잔떨림 제거의 파형과 관계없이 2J/kg -> 4J/kg로 시행
3) 전기 쇼크의 시행
- 피부의 화상 방지 : 전극 도자에 연고나 젤리를 두껍게 바르며 주위 피부에 묻지 않도록 함
- 우 쇄골 하부의, 심장부의(좌측 전 액화 선상의 4번째 늑간)
- 모두 뒤로 물러서도록 함
- 잔떨림 제거를 한 후에는 심전도 리듬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가슴압박을 2분간 시행
- 가슴 압박 동안 line 확보(정맥, 골내)
- 에피네프린, 아미오다론(심실세동이 지속될 경우)
※ 체내 이식형 제세동기(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ator, ICD)
- 인공 심박동기, 심장 리듬 전환설과 잔떨림 제거로도 조절되지 않는 심실 빈맥 환자
- 항부정맥제 같이 사용하기도 함.
'간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전도 판독과 중재(2) (0) | 2023.02.12 |
---|---|
심전도 판독과 중재 (1) (0) | 2023.02.12 |
인공호흡기 적용 대상자 간호 (0) | 2023.02.12 |
Neuroblastoma (신경모세포종) (0) | 2023.02.12 |
감염관리 지침 (0) | 2023.02.12 |